Computer Science DNS 쿼리 처리 과정 지금까지 DNS 에 대해 알고 있던 것브라우저에 naver.com 쓰고 엔터치면 DNS 에서 naver.com의 ip 주소를 알려줄꺼고 거기로 가면 되지. (끝)리액트 프로젝트를 하다가 그 유명한 CORS 문제를 겪었다. 임시방편으로 hosts 파일을 수정하면 CORS 문제를 피해서 개발할 수 있다길래 알아보다가(결국 이 방법은 배포된 url 주소가 없어서 실패했지만) DNS 쿼리의 처리 과정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이해하게 됐다. DNS 쿼리 처리 과정 .. Computer Science/Network, Security 2021. 5. 4. C언어의 메모리 구조에 대하여 메모리 구조는 진작에 짚고 넘어갔어야할 주제인데 이제서야 제대로 공부해봤다. libasm 과제를 하면서 어셈블리어를 처음 접했다.주먹구구식으로 하다보니 공부할수록 찜찜하게 이해가 안 되는 부분들이 많았다ㅠㅠ아마도 메모리 구조를 어설프게 알고 있어서 그런게 아닐까. 어셈블리어란?어셈블리어는 기계어와 일대일 대응이 되는 low level 언어이다. 101010001 이런 기계어와 C, Java, Python 등 high level 언어의 중간에 있다고 볼 수 있겠다. 어셈블리어가 왜 중요하지? 왜 알아야하지?디버깅 결과가 어셈블리어로 나오니까. 어셈블리어를 모르면 결과를 분석할 수 없다. gdb에서 -g 옵션을 주면 어셈블리어가 아닌 디버깅도 되긴 하지만 뭐.. 일단 gdb 잘 모르니까 넘어가고어셈블리어를.. Computer Science/OS 2020. 12. 10. 이전 1 다음